7월 중국 화장품 법규 신동향: 중검원, 3종 인체시험 방법 도입 및 염모·펌·자외선 차단 화장품 기술 지침 다수 추가
7월이 지나고, 중국 화장품 규제에 어떤 새로운 변화가 있었을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신원료 신고
1) 11종의 신원료 신고 완료
2025년 7월, 총 11종의 화장품 신원료가 신고 완료되었습니다.
- 维生素 K-1 环氧化物(国妆原备字20250082)
- 华白及(Bletilla sinensis)愈伤组织提取物(国妆原备字20250083)
- 乙酰姜油酮(国妆原备字20250084)
- 阿魏酰三肽-129酰胺(国妆原备字20250085)
- 乙酰谷胱甘肽(国妆原备字20250086)
- (2R,3R)-二氢槲皮素(国妆原备字20250087)
- 氨基 PEG-5 乙酰二十三肽-14(国妆原备字20250088)
- 己酰基二肽-3正亮氨酸(国妆原备字20250089)
- 九肽-88(国妆原备字20250090)
- 醋醅醅卤提取物(国妆原备字20250091)
- 赶黄草(PENTHORUM CHINENSE)叶/茎提取物(国妆原备字20250092)
법규 동향
1. 중검원, 3종 화장품 기준 공개 의견 수렴
2025년 7월 3일, 중국식품의약품검정연구원에서 ‘인체 피부 패치 테스트 방법(의견수렴안)’ 등 3종 화장품 기준 의견 수렴 공고를 냈으며, 의견 수렴은 종료되었습니다.
2. ‘등록 및 신고허가 신원료 일람표’ 발표
2025년 7월 11일, 국가약감국에서 등록 및 허가된 화장품 신원료 일람표를 발표했습니다. 개혁 조치의 추진으로 등록·허가 신원료가 꾸준히 증가하여 2025년 6월 말 기준 총 272종에 달합니다.
3. 중국 어린이 화장품 시장 급성장
2025년 7월 24일, 국가약감국이 발표한 어린이 화장품 등록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어린이 일반 화장품 등록 수는 28,168종(국산 27,219종, 수입 949종), 어린이 특수 화장품 허가은 427종(국산 406종, 수입 21종)입니다.
4. 2025년 화장품 기준 제·개정 계획 공시
2025년 7월 30일, 국가약감국 종합부서가 34건 화장품 기준 제·개정 계획을 공시했습니다. 공시 기간은 공시일로부터 7일입니다.
5. 중검원 3종 화장품 시험 방법 발표
2025년 7월 30일, 중국식품의약품검정연구원이 ‘화장품 내 디에틸렌글라이콜 시험 방법(의견수렴안)’ 등 3종 시험 방법 의견 수렴 공고를 발표했으며, 의견 수렴은 2025년 8월 20일까지입니다.
6. 중검원, 염모·펌·자외선 차단 화장품 기술 지침 도입
2025년 7월 31일, 중국식품의약품검정연구원에서 ‘염모 화장품 연구 기술 지침(시행안)(의견수렴안)’ 등 6종 지침 의견 수렴 공고를 내었으며, 의견 수렴은 2025년 8월 15일까지입니다.
7. ‘화장품 안전 위험 모니터링 및 평가 관리 방법’ 8월 1일 시행
국가약감국 주관으로 제정된 이 관리 방법은 2025년 8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주요 모니터링 대상은:
-
- 인체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화장품 첨가 물질
- 어린이 등 민감군에 위해를 줄 수 있는 물질
- 원료·포장재, 생산·보관·운송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위해물질
- 기준 제·개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 항목
- 기타 주요 모니터링 항목
8. 치약 국가표준 2종 공개, 내년부터 시행
최근 GB/T 35832-2025 ‘치약 연마값 측정 방법’, GB/T 45893-2025 ‘구강 청결 관리용 인산규산칼슘’이 공개됐으며, 2025년 6월 30일 발표 후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중국경공업연합회에서 관리합니다.
9. 다수 화장품·구강용품 관련 국가표준 개정 예정
2025년 7월 1일, 국가표준위원회가 2025년 제6차 추천 국가표준 및 관련 국가표준 외문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총 1154건의 추천 국가표준 계획 중 130건 신설, 1024건 개정 예정이며, 이 중 화장품 기준 11건, 세정제 및 구강용품 기준 14건이 포함됩니다.
10. 물티슈 신기준 10월 1일 시행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과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가 발표한 신규 물티슈 관련 권장 국가표준
-
- GB/T 27728.1-2024 ‘물티슈 및 유사 제품 제1부: 일반 요구사항’
- GB/T 27728.2-2024 ‘물티슈 및 유사 제품 제2부: 유아용 물티슈 특수 요구사항’
- GB/T 27728.3-2024 ‘물티슈 및 유사 제품 제3부: 소독용 물티슈 특수 요구사항’
이 세 가지는 2025년 10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됩니다.
위법 사례
1. 광동성 ‘沁姿莱’ 화장품 안전 소비 경고
2025년 7월 4일, 광동성 약감국이 ‘沁姿莱’ 시리즈 화장품 안전 소비 경고를 발표했습니다.
‘광저우 호미 제약유한회사’ 명의의 ‘沁姿莱 홍기삼 윤안 존향 세트’ 제품은 2024년 9월 등록 취소됐으나, 회사 측은 해당 제품을 생산·판매한 적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제품이 발견되면 가품 의심 및 화장품 품질 안전 위험이 크니, 관할 감독부서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2. 시장감독총국, 10건 위법 광고 사례 공개
2025년 7월 9일, 시장감독총국이 10건의 위법 광고 사례를 발표했으며, 그 중 한 건은 라이브 커머스 내 화장품 과장 광고로, 알레르기 치료 효과를 주장해 소비자 오도 사례가 적발되어 행정 처분을 받았습니다.
3. 광저우 첫 위법 광고 사례 공개
2025년 7월 14일, 광저우시 감독국에서 2025년 첫 위법 광고 사례를 발표했습니다.
광저우 어느 한 회사가 샴푸 제품 홍보 시 질병 치료 기능을 과장하여 광고를 게시했고, 법에 따라 광고 중지 명령과 10만 위안 벌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4. 2025년 6월 전국 미허가 수입 식품·화장품 정보
2025년 7월 17일, 해관총서에서 6월 전국 공항 세관에서 안전 위생 불합격 및 미허가 수입 식품·화장품 정보를 발표했습니다.
화장품 7종이 증명서 미제출, 라벨 불합격, 유효기간 경과 등 사유로 반품 또는 폐기 처분되었습니다.
5. 광동성 화장품 샘플 검사 결과 공고2025년 7월 18일, 광동성 약감국에서 2025년 1차 화장품 샘플 검사 결과를 공고했습니다.
746개 제품 중 4개 제품이 규정 미달로 판정되었고, 라벨 미표시 원료, 세균 총수 초과 등이 원인입니다.
관련 기업에는 판매 중지, 리콜 등 위험 관리 조치가 요구되었으며, 원인 조사 및 시정이 진행 중입니다.
지역 동향
1. 산동성, 연차보고서 미제출 제품 신고 취소 예정
2025년 7월 4일, 산동성 약감국이 2025년도 연차보고서 미제출 일반 화장품 등록 취소 계획을 공고했습니다.
취소 대상 제품 신고인은 이의 제기 시 정해진 기간 내 진술 및 항변 가능합니다.
‘화장품 등록신고 관리 방법’과 ‘국가약감국 공고(2021년 제35호)’에 따라 등록인은 매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신규 신고 플랫폼에 연차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 절강성, 화장품 기업 신용평가 관리방법 발표
2025년 7월 16일, 절강성 약감국에서 ‘절강성 화장품 등록인, 신고인 및 위탁생산기업 신용평가 관리방법’을 공포했습니다.
2025년 9월 1일부터 시행하며, 기존 ‘절강성 화장품 생산기업 신용평가 관리방법(시행)(2020년)’은 폐지됩니다.
3. 베이징시 일반 화장품 신고 FAQ 발표
2025년 7월 23일, 베이징시 약감국에서 일반 화장품 등록 관련 FAQ(47차)를 공개했습니다.
안전성 평가 제출, 방부제 도전시험 면제 조건, 어린이 화장품 향료 성분 함량 계산, pH 값, ‘카보멈’ 위험물질 평가, IFRA 증명서 적용 시 유의사항 등 7가지 질문에 답변했습니다.
단체표준 동향
최근 발표된 단체표준
- ‘화장품용 원료 트라이펩타이드-1 구리’, 관리단위: 광동성 화장품학회
- ‘식물성 두피·모발 관리 용품’, 관리단위: 중국검험검측학회
- ‘화장품 포장 품질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안내’, 관리단위: 베이징 일용화학품협회
- ‘화장품 ‘무눈물 포뮬러’ 주장 시험 평가 방법’, 관리단위: 상하이 일용화학품산업협회
REACH 24H 화장품 등록 및 시장 진입 서비스
중국 화장품 컴플라이언스 서비스
- 화장품 및 신원료 등록·허가
- 치약 허가
- 화장품, 원료, 치약 안전성 평가
- 독성 및 효능 시험 감독
- 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 원료 제출 코드 신청
- 중국 내 책임자 서비스
- 맞춤형 컴플라이언스 교육
화장품 해외 진출 컴플라이언스 서비스
- 유럽·미국 : EU, 영국, 미국
- 아시아 : 일본,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대만
문의하기
📞 +82-02-6245-1610